윈도우 환경에서 APM을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APM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하면 약자 입니다.
A : Apache (아파치 )
P : PHP
M : MySQL 또는 DB
요렇게 3가지가 있어야 웹서버를 구축 할수 있습니다. 여기에 리눅스 환경이면 LAMP라고도 칭합니다. Apache는 HTTP 웹 서버이고, PHP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 입니다. MySQL은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입니다.
정식으로 웹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3가지나 설치를 해야되는데 조금 번거롭습니다. 물론 숙련자나 유경험자는 금방 하시겠지만, 저처럼 웹 서버에 대해 아직 잘 모르는 초보분들을 위해서 3가지를 묶어서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AutoSet , APMSETUP .. 등등이 있습니다.
저는 AutoSet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유는 둘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다운이 가능한데요. APMSETUP 같은 경우 현재 관리가 잘 안되는지 마지막 업데이트 2010년 입니다. 아무래도 자주 업데이트 되고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걸 선택하는게 유리하겠죠. AutoSet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AutoSet 공식 사이트 : http://autoset.net/xe/about_autoset
설치 방법은 공식 사이트에 가셔서 최신 버전을 다운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윈도우 프로그램이라 '다음' 버튼만 잘누르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OS버전에 따라 32 비트, 64 비트로 나눠져 있는데 자신의 PC에 해당하는 버전을 다운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홈페이지에 가면 한글로 친절하게 설명이 잘되어 있습니다. 3분만 투자하면 초보도 홈페이지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다고 하네요 .(정말??)
8.0 버전은 데이터베이스를 CUBRID를 사용하네요. 그리고 Full install을 하면 XE, Gnuboard, Kmsq, Wordpress 등을 설치합니다. 귀찬아서 그냥 다 설치했습니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가 되면 오토셋 8.0 매니저 실행을 하면 위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웹서버만 쓸예정이라 일단 다른것들은 다 서비스 종료를 해서 오른쪽 위에 웹서버(80)이라고 표시가 되고 있네요. 참고로 괄호 안에 숫자는 포트를 나타냅니다.
웹서버가 실제로 동작을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인터넷 창을 열고 http://127.0.0.1/ 이라고 입력을 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utoSet 공식 사이트 : http://autoset.net/xe/about_autoset
AutoSet 사용자 카페 : http://cafe.naver.com/autoset
AutoSe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AutoSet